💫 문제 설명
매개변수
today: 오늘 날짜를 의미하는 문자열today는 “YYYY.MM.DD” 형태로 오늘 날짜를 의미
terms: 약관의 유효기간을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1 ≤
terms의 길이 ≤ 20terms의 원소는 “약관 종류유효기간” 형태의약관 종류와유효기간을 공백 하나로 구분한 문자열입니다.약관 종류는A~Z중 알파벳 대문자 하나이며,terms배열에서약관 종류는 중복되지 않습니다.유효기간은 개인정보를 보관할 수 있는 달 수를 나타내는 정수이며,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1 ≤
privacies: 수집된 개인정보의 정보를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privacies[i]는i+1번 개인정보의 수집 일자와 약관 종류를 나타냅니다.privacies의 원소는 “날짜약관 종류” 형태의날짜와약관 종류를 공백 하나로 구분한 문자열입니다.날짜는 “YYYY.MM.DD” 형태의 개인정보가 수집된 날짜를 나타내며,today이전의 날짜만 주어집니다.privacies의약관 종류는 항상terms에 나타난약관 종류만 주어집니다.
today와privacies에 등장하는날짜의YYYY는 연도,MM은 월,DD는 일을 나타내며 점(.) 하나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2000 ≤
YYYY≤ 2022 - 1 ≤
MM≤ 12 MM이 한 자릿수인 경우 앞에 0이 붙습니다.- 1 ≤
DD≤ 28 DD가 한 자릿수인 경우 앞에 0이 붙습니다.
- 2000 ≤
-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가 하나 이상 존재하는 입력만 주어집니다.
→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의 번호를 오름차순으로 1차원 정수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
| 약관종류 | 유효기간 |
|---|---|
| A | 6 달 |
| B | 12 달 |
| C | 3달 |
| 번호 | 개인정보 수집 일자 | 약관 종류 | 유효 날짜 |
|---|---|---|---|
| 1 | 2021.05.02 | A | 2021.11.01 |
| 2 | 2021.07.01 | B | 2022.06.28 |
| 3 | 2022.02.19 | C | 2022.05.18 |
| 4 | 2022.02.20 | C | 2022.05.19 |
오늘 날짜가 2022.05.19 일 때,
- A약관 –
2021.05.02 → 2021.11.01까지 보관 가능, 유효 기간 지남 ✔️ - B약관 –
2021.07.01 → 2022.06.28까지 보관 가능 - C약관 –
2022.02.19 → 2022.05.18까지 보관 가능, 유효 기간 지남 ✔️ - C약관 –
2022.02.20 → 2022.05.19까지 보관 가능
→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 번호는 [1, 3]
💫 코드
def solution(today, terms, privacies):
arr = privacies
date = {}
answer = []
for term in terms:
a, b = term.split(' ')
date[a] = int(b)
for p in privacies:
a, b = p.split(' ')
c, d, f = map(int, a.split('.'))
f -= 1
c += date[b] // 12
d += date[b] % 12
if f <= 0:
f = 28
d -= 1
if d > 12:
c += 1
d -= 12
x = str(c)+'.'+str(d).zfill(2)+'.'+str(f).zfill(2)
if x < today:
for i in range(len(arr)):
if arr[i] == p:
answer.append(i+1)
arr[i] = None
break
answer.sort()
return answer
정말 왜 틀리는건지 몰랐었는데 간과한것이 있었다.
privacies 가 중복이 될수도 있었는데, 딕셔너리를 이용해 풀다 보니 오답이 나왔었다.

답글 남기기